당시 입은 옷과 증거물을 코팅되지 않은 종이
봉투에 넣어 보관합니다.
신체적 상해가 있을 경우 자신이 다쳤음을 알 수
있는 사진을 찍어 보관합니다
피해증거
(sns, 대화내용, 메시지, 전화내용, 사진
등)를
삭제하지 않고 보관합니다.
증거물이 씻겨 소멸되지 않도록 몸을 씻지 않아야
합니다.
피해 일시, 상황, 가해자의 인상착의, 가해자와의
관계를 기억나는대로 정확하게 기록합니다.
신고를 망설이거나 도움 받고 싶은 일이 있다면
가까운 성폭력상담소, 여성긴급전화 1366에
요청하세요.
피해사실을 의심하거나 피해를 피해자 탓으로
돌리는 말과 행동은 하지 않고, 힘든 마음을 이해하며
공감해줍니다.
피해자에게 ‘솔직함’을 강요하지 않아야 합니다.
자신은 조력자일 뿐, 사건 진행에 있어 가장 힘든
것은 피해자 본인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가까운 성폭력 상담소, 해바라기 센터, 여성긴급전화 1366, 경찰서 여성청소년계를 알려주고 연락할 수 있도록 합니다.
피해자와 함께 하다보면 피해자의 고통에
감정이입이 되어 힘들 수 있으니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피해가 의심될 경우 (혼자 판단하기 힘든 경우) 성폭력 상담소에 문의하세요.